chatGPT를 사용한 리액트 최적화 [ memo, useMemo, useCallback ]에 대한 내용
chatGPT를 사용해서 리액트 최적화에 대한 내용을 물어보면 어떤식으로 답변이 나올지 궁금해졌다
간단하게라도 영어로 질문하는 것이 정확한 답변이 나올 것 같아 영어로 질문했다
chatGPT를 통해 얻어낸 답변은 다음과 같다
React.memo
React.memo는 불필요한 재렌더링을 피함으로써 기능적 구성 요소의 성능을 최적화하는 데 도움이 되는 React JavaScript 라이브러리의 고차 구성 요소(HOC)입니다. shouldComponentUpdate클래스 기반 구성 요소 의 메서드에서 제공하는 것과 유사한 성능 향상을 제공하여 이를 수행합니다 .
React.memo는 기능적 구성 요소를 인수로 사용하고 구성 요소의 새로운 메모 버전을 반환하는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메모화된 버전은 소품이 변경된 경우에만 다시 렌더링됩니다. 즉, 동일한 props가 구성 요소에 전달되면 다시 렌더링되지 않아 애플리케이션의 성능이 향상됩니다.
다음은 React.memo를 사용하는 방법의 예입니다.
import React from 'react';
function MyComponent(props) {
return <div>{props.message}</div>;
}
export default React.memo(MyComponent);
이 예제에서 함수는 소품이 변경 MyComponent되는 경우에만 다시 렌더링됩니다 .message
React.memo는 순수한 기능적 구성 요소에만 효과적이라는 점에 유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즉, 부작용이 없고 동일한 입력이 주어지면 항상 동일한 출력을 반환한다는 의미입니다. 기능적 구성 요소에 부작용이 있거나 외부 상태에 의존하는 경우 React.memo로 래핑하면 이점이 없습니다.
useMemo
useMemo값비싼 계산을 메모하여 애플리케이션의 성능을 최적화할 수 있는 React JavaScript 라이브러리의 후크입니다. 비용이 많이 드는 계산 결과를 캐시하고 특정 종속성이 변경된 경우에만 다시 계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를 수행합니다.
다음은 사용 방법의 예입니다 useMemo.
import { useMemo } from 'react';
function MyComponent(props) {
const expensiveResult = useMemo(() => {
// Expensive calculation goes here
return result;
}, [dependency1, dependency2]);
return <div>{expensiveResult}</div>;
}
dependency1이 예에서 비용이 많이 드는 계산은 변경되는 경우 에만 수행됩니다 dependency2. 변경되지 않으면 캐시된 결과가 대신 사용되어 애플리케이션의 성능이 향상됩니다.
useMemo모든 렌더링에서 변경될 가능성이 없는 비용이 많이 드는 계산에만 사용해야 한다는 점에 유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계산 중인 값이 저렴하거나 자주 변경되는 경우 사용 오버헤드로 useMemo인해 실제로 성능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useCallback
useCallback콜백 함수의 메모화된 버전을 반환하여 애플리케이션의 성능을 최적화할 수 있는 React JavaScript 라이브러리의 후크입니다. 콜백을 캐시하고 종속성 중 하나가 변경된 경우에만 콜백을 다시 만들 수 있습니다.
다음은 사용 방법의 예입니다 useCallback.
import { useCallback } from 'react';
function MyComponent(props) {
const handleClick = useCallback(() => {
// Function body goes here
}, [dependency1, dependency2]);
return <button onClick={handleClick}>Click me</button>;
}
이 예에서 함수는 변경되는 경우 handleClick에만 다시 생성됩니다 . 변경하지 않으면 캐시된 함수가 대신 사용되어 애플리케이션의 성능이 향상됩니다.dependency1dependency2
useCallback불필요한 렌더링을 방지하기 위해 참조 동등성에 의존하는 최적화된 자식 구성 요소에 콜백을 전달할 때 특히 유용합니다.
useCallback만드는 데 비용이 많이 들거나 자주 변경되지 않는 함수에만 사용해야 한다는 점에 유의 해야 합니다. 반환되는 함수가 저렴하거나 자주 변경되는 경우 사용 오버헤드로 useCallback인해 실제로 성능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정말 간단하게 질문했는데도 불구하고 예시까지 들어가면서 해당 함수에 대한 설명을 자세히 설명해준다
개인적으로는 구글에 검색해서 찾는 것보다 GPT가 알려주는게 더 이해도 편하고 리서치 속도도 빨랐다